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홍천 사료자동급이기 보조사업 우사 복식+단식

카테고리 없음

by 사료자동급이기 2023. 5. 16. 12:25

본문

728x90
반응형
SMALL

단식1개동, 복식1개동 작업
보강기둥을 설치해서 내구성이 뛰어나고 눈, 바람, 사료이송중에 유격이 없습니다.

보강기둥에 보강작업

일반적으로 보강기둥과 트러스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장기적으로 내구성과 소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와이어로 보강할경우 거리에따라서 흔들림이 심할 수 있습니다.
큰 비용을 들여서 장기적으로 사용하신다면 보다 구체적인 견적과 시공이 필요합니다.


사료차가 충분히 다닐수있는 높이로 시공

트러스의 높이는 보통 4,5m~5미터 이상으로 시공해야 대형트렉터, 왕겨차 등 대형차량과 장비들이 이동할 경우를 미리 염두해 주세요.


목걸이쪽 기둥이 없어 앵글을 길게 설치

가끔 기둥이 밖에 있는 경우 시공방법입니다.
밥구수의 기능에 맞게 높이와 방향을 잘 잡아야 합니다.


사료라인 마지막 퇴출구를 계량통으로 설

보통의 경우 자바라를 통한 퇴출구를 만드는 경우가 많은데 사료이송중  사료알갱이가 떨어지게 되고 배가 고픈 소들이 엉킬수 있기에 막아놓고 마지막 계량통과 무게를 계산해서 급이를 해야 합니다.


S밴딩 연장해서 윗치조정

기본적으로 S밴딩의 규격을 오버할경우 정확한 위치에 맞추기위해 연장을 해야 합니다.

수많은 사료급이기 업체가 많이 있고 다양한 우사가 있지만 설계자와 설치팀은 우사에 최적화를 위한 다양한 설계와 시공을 해야 하는데 제가 수년간 많은 우사와 현장을 다녀 본 경험으로는 기존에 설치된 우사중에 80%이상은 리모델링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비교. 같은 규모의 우사인경우, 같은 개월 수, 같은 사료량이라는 상황에서의 비교가 좋은 예입니다.

예시
농가 120두 20개월 비육, 1일 3회 2kg씩 3회급여
120두에 같은 사료량을 자동급이기를 작동할경우
1번 농가는 35분만에 계량 완료
2번 농가는 28분만에 계량 완료
똑같은 속도의 구동부와 호퍼, 그리고 감속기를 사용한 경우입니다.

호퍼는 균일하게 회전하여 사료를 꺼내기 때문에 7분이라는 시간동안 이송된것은 어디로 간것일까요?

99% 의 농가에서는 생각해본 사람을 본적이 없습니다. 믿는거죠. 그럼 없어진 걸까요?ㅎㅎ
그것을 1일 3회, 한달, 1년으로 계산해 보시면 얼마의 손해를 보는지 알수 있습니다.

상담전화 주세요. 010.6286.8089


728x90
LIST

댓글 영역